728x90
반응형

연금 9

연금저축 불이익 없이 계좌이전 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오늘은 연금저축계좌를 다른 기관인 증권사로 이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 연금저축계좌 왜 이전하려 하는지? 저는, 연금저축계좌를 KB국민은행에 개설을 했습니다. 언제인지는 정확히 기억이 안 나지만 5만 원씩 약 1천만 원 정도 납입했으니 200회쯤 납입했네요. 가입일자를 보니 14년에 가입했네요. 상품명은 KB골든라이프 연금저축신탁(채권형)입니다. 원금은 10,050,000원 이체당시 금액은 11,142,694원 수익은 1,092,694원 수익률 약 10.8%입니다. 연평균 수익률 약 1% 정도 됩니다. 매우 안습입니다. 매월 5만 원씩 적립식으로 넣은 걸 감안해도 너무 낮습니다. 그래서 펀드 및 ETF에 투자를 위해 증권의 연금저축으로 이전을 결심했습니다. 2) 증..

연금을 받을 때 어떤 순서로 인출되나요?

연금저축 또는 IRP 같은 연금계좌에는 다양한 자금이 섞여 있습니다. 이러한 자금은 종류에 따라 세금 종류도 다릅니다. 그럼 연금으로 수령 시 어떻게 세금이 적용될까요?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연금저축 또는 IRP에 적립된 자금의 종류 자금의 종류를 정리해보면 아래처럼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를 받으며 매년 저축한 금액 세액공제를 받지 않으며 매년 저축한 금액 퇴직자가 퇴직급여를 연금계좌에 이체한금액 저축한 금액에서 발생한 운용수익 여러 종류의 자금이 섞여 있는 경우 가입자가 연금을 개시할 때 어떻게 될까요? 각각의 자금이 차지하는 비율에 맞게 일정한 비율로 자금이 인출될까요? 아니면 인출순서가 정해져 있을까요? 2. 적립금은 어떤 순서로 인출될까? 연금계좌에서 일부 금액을..

연금저축 및 IRP 세액공제 가능금액

연금저축, IRP 모두 세액공제가 있는 제도입니다 55세 이후에 퇴직연금으로 매월 수령이 가능하며, 가입기간 동안 발생한 이자수익등의 세금이 부과되지 않고 이연 되므로, 세금만큼(16.5%) 추가 투자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그리고 중요한게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그럼 얼마나 세액공제가 가능할까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가입은 어떻게? 먼저 연금저축과 IRP 가입대상 등에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1) 연금저축 - 연금저축은 가입 대상에 제약이 없습니다. - 소득 유무, 나이 불문, 직장인 또는 은퇴자, 공무원 군인 교사, 퇴직연금에 가입했든 아니든 누구나 연금저축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 혜택 : 연금저축 운영으로 발생한 소득에 대해서 비과세(16.5%) 그리고 세액공제의 혜택이 있습니다. 다만, ..

국민연금 조기수령, 정상수량, 연기수령 차이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민연금에 관해 적어보려 합니다. 국민연금은 65세부터 수령이 가능한데요. 이 기준에 최대 5년까지 조기수령이 가능합니다. 즉, 60세부터 수령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태어난 연도에 따라 최초 국민연금 수령시기가 달라지는데 조기수령은 수령가능한 연도부터 5년 앞당겨 가능합니다. 다만, 제가 해당되는 1969년 이후 기준으로 65세 수령시작을 기준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반대로, 국민연금 수령시기를 뒤로 늦출 수 있습니다. 이것 역시 수령시작나이부터 최대한 5년까지 가능합니다. 이것을 연기수령이라고 합니다. 1. 조기수령, 정상수령, 연기수령의 차이 조기수령과, 정상수령, 연기수령의 차이는 수령받는 금액의 차이가 가장 큽니다. 정상수령을 100%이라 했을 때 조기수령은 70%만큼 수령이 가능..

2023년 달라지는 연금계좌 혜택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오늘은 2023년에 달라지는 연금계좌의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세액공제 납입한도가 늘어납니다! 총급여 (종합소득금액) 납입한도 (연금저축 납입한도) 세액 공제율 50세 미만 50세 이상 5,500만원 이하 (4,500만원) 900만원 (600만원) 16.5% 5,500만원 초과 (4,500만원) 13.2% 22년까지는 연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제공해 주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400만 원, IRP 300만 원으로 할 수 있습니다. 물론 IRP로만 7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연금저축과 IRP계좌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본인 상황에 맞추어 세액공제 비율을 조절하시면 더욱 좋을 거 같습니다.예를 들어 연금저축은 55세 이전 일부금액을 인출이 가능하지만, ..

IRP계좌 (명퇴금, 희퇴금?)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퇴직 후 처리해야 할 일들이 많습니다. 그간에는 조직의 테두리 안에 있어 굳이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었던 일들 중 하나하나 신경을 써야 하는 것들이 많아졌습니다. 아이들 실손보험혜택도 사라졌고, 매년 당연히 있던 건강검진도 사라졌습니다. 자연스럽게 내던 국민연금 납부도 중단되어서 추가납부를 해야 할지 잠깐 중단할지 알아봐야 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퇴직하면 당연히 받아야 할 그러나 생각을 안 해봤던 퇴직금을 어떻게 수령하고 운용을 해야 할지가 가장 먼저이지 싶습니다. IRP계좌 개설 2022년 4월 14일 이후 퇴직연금제도 미도입 업체도 퇴직금 지급 시에는 IRP 계좌로 의무 지급을 하여야 합니다. 기존에는 퇴직연금 도입업체만 IRP계좌로 의무 지급하였고, 미도입업체는 펌뱅킹..

IRP상품 및 투자 - 국민은행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퇴직금이 IRP계좌에 입금이 되었습니다. 22년 마지막날에 지급을 해주네요. 저는 퇴직금을 IRP계좌 2개로 나눠 받았습니다. 회사에서는 IRP계좌 1개로 받으라 했는데, IRP계좌 2개로 나눠서 요청을 했습니다. 당장에 사용할 금액도 아니지만, 미래에 어떻게 일이 생길지 몰라서입니다. 우선 목표는 55세까지 계좌를 유지하면서 수익률 약 2배 정도 창출하는 것입니다. 쉽지는 않겠지만 현재처럼 금리가 높은 상황이 유지가 되면 어느 정도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리고 계좌 개설 후 알아보니 어제 작성했던 글처럼 증권사가 운용 수수료 약 0.3%~0.4%가 무료로 제공해 주는 곳이 많아서 증권사로 이전을 하려고 합니다. 한 달 안에 하면 수수료가 부과 안된다 하니 1월 초에 후..

퇴직후 알아보는 국민연금!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오늘은 눈이 많이 내려서 눈 내린 북한산이 보이는 스벅에 와서 글을 쓰고 있습니다. 오늘은 국민연금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적어보려 합니다. 퇴직을 했는데 국민연금을 계속 내야하나 말아야 하나 어떻게 해야 하나 등등 모르는 게 투성이더군요 이번기회에 국민연금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공유드리니 도움이 되심 좋겠습니다. 1. 국민연금이란? - 국민연금이란 대한민국에서 보험의 원리를 도입하여 만든 사회보험의 일종이다. (출처 : 나무위키) - 만 18세 이상 만 60세 미만의 대한민국의 국민의 경우 공무원연금가입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무가입 대상 ==> 의무가입입니다. 실직을 해도 가입이 유지됩니다. 다만, 소득이 없거나 하면 유예가 되기도 하지만, 의무가입이 핵심입니다. 2. 실..

IRP 계좌 - 은행/증권/보험사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오늘은, IRP계좌 입니다. 퇴직금은 그냥 받는 게 아니고 받는 방법이 따로 있고, 잘 받아야 세금 손해도 안 본다는 말이 많네요 그래서 찾아봤습니다. 1) 퇴직금 수령방법 - IRP 계좌 개설 - IRP 계좌 입금 - 일시불 또는 연금수령 크게 위의 프로세스로 진행이 됩니다. IRP계좌는 무엇일까요? 근로자의 퇴직금을 자신 명의의 퇴직 계좌에 적립해 연금 등 노후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로, 퇴직하지 않아도 누구나 개설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즉, 퇴직계좌를 만들어 퇴직 후 노후자금을 목적으로 만드는 계좌입니다. 퇴직 안 해도 만들 수 있지만... 퇴직 후에는 무조건 여기로만 퇴직금을 받아야 합니다... 법이 그렇다네요 ((( 취지 : 가급적 퇴직금을 55세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