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민연금 7

연금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 : 기초부터 시작해요!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오늘은 연금의 종류 등 연금에 관한 기초적인 것부터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1. 연금의 종류 연금은 지급주체 및 적립방법 등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국민연금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공적 연금 제도로, 나이가 들거나 소득활동이 중단된 경우 본인이나 유족에게 연금을 지급함으로써 기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금제도입니다. 2) 퇴직연금 근로자의 재직기간 동안 회사 내부적으로 계산해 둔 퇴직금을 퇴직 시 일시금으로 주던 제도를 개선하여, 퇴직금을 근로자가 종사하고 있는 기업이 아닌 외부 금융기관이 관리하는 제도입니다. 3) 개인연금 개인이 직접 가입하여 운용하는 연금으로, 세제적격 연금과 세제비적격 연금으로 나누어집니다. 2. 국민연금 국민연금에 대해 좀..

국민연금 임의가입, 추후납부, 반납할때도 소득공제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주식시장이 안 좋아지면서 가뜩이나 기금고갈 때문에 이슈가 많은 국민연금이 또다시 들썩이고 있습니다. 이러다 진짜 더내고 늦게받는 국민연금 개혁이 진행될지 심히 우려스럽습니다. 국민연금은 노후준비도 되지만, 저 같은 직장인에게는 소득공제를 받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국민연금의 임의가입, 추후납부, 반납시 소득공제가 가능한지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1. 국민연금 임의가입, 추후납부, 반납은 무엇인가요? 1) 임의가입 - 국민연금 의무가입 대상이 아닌 사람이 만 60세 이전에 스스로 국민연금에 가입한 사람을 말합니다. 국민연금 의무가입 대상자 1) 국내 거주하는 만 18세이상 60세 미만 국민 - 사업장 소속된 사용자 및 근로자 : 사업장가입자 - 사업장가입자 제..

은퇴후 금융소득 2500만원... 세금·건보료는?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오늘은 은퇴 후 금융소득만 2500만 원이 있는 경우, 세금이나 건보료는 어떻게 되는지 한번 알아봤습니다. 60대인 A씨는 별다른 수익이 없이 은퇴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 예금금리가 4~5% 대가 되면서 은퇴 후 별다른 소득이 없이 퇴직금이나 그동안 모아놨던 주식, 예금에서 배당금이나 이자등으로 생활비로 쓰고 있는 경우입니다. 금리가 오르며 배당금과 이자도 늘고 있어 금융소득이 2,500만 원이 되는 경우입니다. 소득이 늘어나는 것은 좋은일이나, 갑자기 이에 따른 세금과 건강보험료도 불어날 전망입니다. 1. 금융소득 구간별 예상 월 건강보험료 금융소득이 각각 1,300만원, 1,900만 원, 2,500만 원이라 가정하고 국민연금 연수령액을 약 1,200만원이라 가정했을 때 ..

국민연금 30% 손해봐도 지금 타는게 유리 - 건강보험료 때문

얼마 전 국민연금 조기 수령 관련 글을 올렸습니다. 그 당시에는 단순히 조기 또는 정상, 연기수령에 따른 연금 감소 또는 늘어나는 금액을 가지고 어떤 게 유리할까 알아봤습니다. 그런데, 변수가 하나 늘었습니다. 바로 건강보험료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건강보험료 피부양자 자격 박탈되는 기준 중 하나인 공적연금 수령금액이 기존 3,40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줄었습니다. 즉 공적연금 2,000만원 (월 166만 원 이상 수령) 초과 시 지역가입자로 전환이 되며 이경우 약 15만 원의 건강보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그래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조기수령을 하여 연금 수령금액을 줄이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한번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건강보험료 부과 체계 개편 정부는 건강보험료..

국민연금 조기수령, 정상수량, 연기수령 차이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민연금에 관해 적어보려 합니다. 국민연금은 65세부터 수령이 가능한데요. 이 기준에 최대 5년까지 조기수령이 가능합니다. 즉, 60세부터 수령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태어난 연도에 따라 최초 국민연금 수령시기가 달라지는데 조기수령은 수령가능한 연도부터 5년 앞당겨 가능합니다. 다만, 제가 해당되는 1969년 이후 기준으로 65세 수령시작을 기준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반대로, 국민연금 수령시기를 뒤로 늦출 수 있습니다. 이것 역시 수령시작나이부터 최대한 5년까지 가능합니다. 이것을 연기수령이라고 합니다. 1. 조기수령, 정상수령, 연기수령의 차이 조기수령과, 정상수령, 연기수령의 차이는 수령받는 금액의 차이가 가장 큽니다. 정상수령을 100%이라 했을 때 조기수령은 70%만큼 수령이 가능..

연금 수령시 세금은?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오늘은 아직 멀었지만 연금수령 시 세금을 어떻게 내야 하는지 좀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세금은 보면볼수록 어렵고 복잡한듯합니다. 세무서에 일하는 동창이 있는데 존경스럽습니다. Q. 퇴직금을 IRP계좌에 넣고, 55세 이후 연금수령 시 세금은 어떻게 되나요? A. IRP에 대한 55세 이후 세금은 원금의 성격에 따라 2가지로 나뉩니다. 1) 소득공제용 IRP : 매년 일정금액을 불입하고 금액에 따라 세액공제를 받는 경우 가. 연금소득세 - 1200만원 미만일 경우 연령에 따라 5.5%~3.3% 세율만 부과합니다. (55세~69세 : 5.5, 70세~79세 4.4%, 80세 이상 3.3%) - 1200만원 초과할 경우 종합소득세를 과세합니다. 단! 원금중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경우는 ..

퇴직후 알아보는 국민연금!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오늘은 눈이 많이 내려서 눈 내린 북한산이 보이는 스벅에 와서 글을 쓰고 있습니다. 오늘은 국민연금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적어보려 합니다. 퇴직을 했는데 국민연금을 계속 내야하나 말아야 하나 어떻게 해야 하나 등등 모르는 게 투성이더군요 이번기회에 국민연금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공유드리니 도움이 되심 좋겠습니다. 1. 국민연금이란? - 국민연금이란 대한민국에서 보험의 원리를 도입하여 만든 사회보험의 일종이다. (출처 : 나무위키) - 만 18세 이상 만 60세 미만의 대한민국의 국민의 경우 공무원연금가입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무가입 대상 ==> 의무가입입니다. 실직을 해도 가입이 유지됩니다. 다만, 소득이 없거나 하면 유예가 되기도 하지만, 의무가입이 핵심입니다. 2. 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