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 독립 그날을 위해]103 연금 수령시 세금은?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오늘은 아직 멀었지만 연금수령 시 세금을 어떻게 내야 하는지 좀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세금은 보면볼수록 어렵고 복잡한듯합니다. 세무서에 일하는 동창이 있는데 존경스럽습니다. Q. 퇴직금을 IRP계좌에 넣고, 55세 이후 연금수령 시 세금은 어떻게 되나요? A. IRP에 대한 55세 이후 세금은 원금의 성격에 따라 2가지로 나뉩니다. 1) 소득공제용 IRP : 매년 일정금액을 불입하고 금액에 따라 세액공제를 받는 경우 가. 연금소득세 - 1200만원 미만일 경우 연령에 따라 5.5%~3.3% 세율만 부과합니다. (55세~69세 : 5.5, 70세~79세 4.4%, 80세 이상 3.3%) - 1200만원 초과할 경우 종합소득세를 과세합니다. 단! 원금중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경우는 .. 2022. 12. 23. 퇴직후 알아보는 국민연금!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오늘은 눈이 많이 내려서 눈 내린 북한산이 보이는 스벅에 와서 글을 쓰고 있습니다. 오늘은 국민연금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적어보려 합니다. 퇴직을 했는데 국민연금을 계속 내야하나 말아야 하나 어떻게 해야 하나 등등 모르는 게 투성이더군요 이번기회에 국민연금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공유드리니 도움이 되심 좋겠습니다. 1. 국민연금이란? - 국민연금이란 대한민국에서 보험의 원리를 도입하여 만든 사회보험의 일종이다. (출처 : 나무위키) - 만 18세 이상 만 60세 미만의 대한민국의 국민의 경우 공무원연금가입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무가입 대상 ==> 의무가입입니다. 실직을 해도 가입이 유지됩니다. 다만, 소득이 없거나 하면 유예가 되기도 하지만, 의무가입이 핵심입니다. 2. 실.. 2022. 12. 21. 퇴직후 소득공제 - 중도퇴사자 연말정산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아침에 아내가 묻더군요, 올해는 소득공제 어떻게 할까? 저희는 맞벌이였고, 제가 소득이 조금 높아서 제 것 위주로 연말정산을 해왔습니다. 올해는 제가 퇴직 후라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몰라서 일단 하던 대로 하고 얘기해줄게 했습니다. 구글을 찾아보니 퇴직한 직원의 경우 "중도퇴사자 연말정산"이라 하고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중도퇴사자 연말정산] 근로자가 중도에 퇴직하는 경우, 퇴직하는 달의 근로소득을 지급하는 때에 연말정산을 합니다. 이를 중도퇴사자 연말정산이라고 하는데, 중도퇴사자는 퇴직 시점에 세금을 정산하여, 퇴직할 때 회사에서 환급받거나 납부하게 됩니다. 그리고 "중도 퇴직"이란 연도 중간에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연도 말까지 취업하지 않은 사람이라고 합니다. .. 2022. 12. 20. [정보]정기예금 금리(1금융권 상위 40개)_12월15일기준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금리가 하루하루 야금야금 떨어집니다 이상하네요 신한은행 1년 정기예금이 4.95까지 본 게 지난주인데 오늘자 4.72까지 떨어졌습니다. 어제는 4.75였는데... 야금야금 떨굽니다. 금리정보를 은행권별로 모아봤습니다. 1금융권기준으로 상위 약 40개를 정리했고, 당분간 트래킹조사를 해볼 생각입니다. 2022. 12. 16. 퇴직연금 IRP 굴리기 - 예금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퇴직연금 수령방법을 확정 지었습니다. 퇴직금의 종류가 2종류이니 IRP계좌 2개로 나눠서 받기로 했습니다. 회사에서도 이런 부분이 처음이다 보니 여러 기관에 문의를 해보았고, 저역시도 여러 기관에 문의해 본 결과 가능해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은행/증권사 중 어느 게 더 유리한지는 확인을 못해서 일단 은행으로 받기로 했습니다. 법정퇴직금 -> 신한 IRP (세전 약 1.3억) 희망퇴직금 -> 국민 IRP (세전 약 1억) 퇴직소득세는 제가 얼마를 낼까요? 갑자기 궁금해 서치를 해봤습니다. 인터넷에 계산기가 있더군요 제가 입사한 날, 퇴직한 날, 대강의 금액을 넣고 돌려봤더니 아래와 같더군요 2.3억에 약 15백만 원 정도 (약 6.5%) 납부하게 되네요.. 정확한지는 모르.. 2022. 12. 16. 희망퇴직금 연금저축 계좌로 받는법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유용한 정보라 급히 올려봅니다. 희망퇴직금 + 퇴직금(법정) 받는 경우만 해당됩니다. 이경우 제가 알아본바는 크게 3가지입니다 퇴직금을 받는 방법 1. IRP 계좌 1개로 희망퇴직금, 법정퇴직금 모두 받는 방법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우선 회사가 편합니다. 따로 계산을 할 필요는 없으니까요. 그냥 계산된 퇴직금 모두를 한 개의 IRP계좌에 이체시키고, 이 부분을 신고하면 됩니다. 다만, 받는 사람입장에서는 55세까지 목돈이 모두 묶여 버립니다. 일부 금액이 필요할 경우 모두 해지를 해야하기 때문에 나이가 젊은 경우일수록 부담이 있는 방법입니다. 2. 펌뱅킹(일반 계좌) + IRP계좌로 나눠 받는 방법 이 방법도 많이 진행합니다. 다만 회사에서 먼저 제안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일.. 2022. 12. 15. 이전 1 ··· 14 15 16 17 1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