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 독립 그날을 위해]103

정기예금 금리 변동 - 9월 18일 기준 1금융권 정기예금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이번주 1 금융권 금리 변화를 알아봤습니다. 지난주 9월 13일 대비 몇몇의 금융권이 조금이나마 금리가 올랐습니다. 소리소문 없이 살짝살짝 오르고 있으니 주의 깊게 봐야 할 거 같습니다. 1. 9월 18일 기준 금리변화 (9월 13일 대비) 전주 대비 금리가 인상된 정기예금 1) 우리은행 WON플러스 예금 : 3.83% -> 3.88% (+0.05%) => 2주 연속 상승 2) IBK기업은행 D-Day통장 : 4.09% ->4.13% (+0.04%) => 2주연속 상승 3) 신한 쏠편한 정기예금 : 3.8% -> 3.85%(+0.05%) 4) 케이뱅크 코드K정기예금 : 3.8% -> 4.0% (+0.2%) => 인터넷 뱅킹 중 가장 높은 금리 5) 하나은행 하나의 정기예금 : .. 2023. 9. 18.
9월 13일 기준 1금융권 금리 현황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주단위로 금리를 조사해서 변동사항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매일은 힘들고 주단위로 1회 정도 해서 변동이 있는 게 있는지 확인해보려 합니다. 조건은 정기예금 금리이며, 1금융권만 대상으로 포함했습니다. 일단 제 기준에서 높은편인 대표적인 상품을 조사했는데 혹시 추가로 알고 싶은 은행이나 상품이 있으면 댓글 달아주시면 포함시키도록 하겠습니다. 1. 9월 13일 기준 금리변화 전주 대비 금리가 인상된 정기예금 1) 우리은행 WON플러스 예금 : 3.73% -> 3.83% (+0.1%) 2) IBK기업은행 D-Day통장 : 4.06% ->4.09% (+0.03%) 3) 카카오뱅크 정기예금 : 3.5% -> 3.6%(+0.1%) 4) KB Star 정기예금 : 3.75% -> 3.8% (+.. 2023. 9. 13.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요새 예금금리가 조금씩 오르고 있는 듯합니다. 아주 천천히 말입니다. 작년 이맘때 폭풍처럼 오르기 시작할 때가 그립네요 오늘은 제가 종종 이용하고 있는 카카오 뱅크 26주 적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카카오 뱅크에서는 아래처럼 최고 7%를 적용해 준다고 합니다. 보통 적금이 4%대 중반인 점을 감안하면 엄청 높은 것이죠 그런데 실제 이자율은 어떻게 될까요? 1. 적금의 이자율 계산은? 적금은 매월 일정금액을 납부하는 상품입니다. 그렇다 보니 월단위로 이자를 계산할 때 실제로 알고 있는 금리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1만 원씩 12개월을 5%의 금리인 적금에 가입을 해서 납부를 한 경우 12만 원의 5%인 6천 원의 이자가 아니고 3,250원인 2.7%의 이자가 발생합니.. 2023. 9. 12.
연금저축 불이익 없이 계좌이전 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오늘은 연금저축계좌를 다른 기관인 증권사로 이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 연금저축계좌 왜 이전하려 하는지? 저는, 연금저축계좌를 KB국민은행에 개설을 했습니다. 언제인지는 정확히 기억이 안 나지만 5만 원씩 약 1천만 원 정도 납입했으니 200회쯤 납입했네요. 가입일자를 보니 14년에 가입했네요. 상품명은 KB골든라이프 연금저축신탁(채권형)입니다. 원금은 10,050,000원 이체당시 금액은 11,142,694원 수익은 1,092,694원 수익률 약 10.8%입니다. 연평균 수익률 약 1% 정도 됩니다. 매우 안습입니다. 매월 5만 원씩 적립식으로 넣은 걸 감안해도 너무 낮습니다. 그래서 펀드 및 ETF에 투자를 위해 증권의 연금저축으로 이전을 결심했습니다. 2) 증.. 2023. 9. 7.
매매일지 - 23년 8월 결산 안녕하세요. 우키짱입니다. 어느덧 8월도 지나고 9월이 되었습니다. 추석이 지나면 23년은 정리하는 분위기가 되고 24년을 준비해야 할 듯합니다. 오늘은 8월 결산을 한번 해보려 합니다. 1. 주식시장의 흐름 올해 처음으로 제가 가지고 있는 주식에서 월간 기준 마이너스 수익이 났습니다. 보통은 2~4월에 마이너스가 나고 했었는데 어찌 보면 올해는 상반기에 선방을 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다만, 금리인상과 경제여건을 종합적으로 봤을 때 주가 상승 여력이 많이 없어 보이는 것도 사실입니다. 아마 9월에는 반짝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겠지만 향후 흐름은 정말 잘 모르겠습니다. 참고로 8월 말 기준 약 10% 수익으로 22년 손실 20% 대비 약 50% 정도 만회된 수준입니다. 2. 채권시장의 흐름 채권 시장은 .. 2023. 9. 3.
[주식/경제/기업] 8/31 일일뉴스 LG전자 / LG디스플레이 / LG이노텍 상반기 재고자산 21% 감소... 삼성전자 DX사업부도 재고 29% 감소22년 이후 IT제품의 수요감소 (특히 중국등)로 인해 IT제품의 부품소재의 재고가 급증하였고 그 결과 22년 영업이익이 악화되었습니다. 23년 현재 감산과 IT 수요의 일부회복으로 재고자산이 감소하며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지만 IT수요회복이 아직 예전만 못해서 부품주의 주가흐름은 답답하기만 합니다. 저 역시 회사를 다니지만 재고의 증가는 결국 기업의 부담으로 돌아옵니다. 그렇다고 가동률을 줄이면, 고정비 비중 증가로 수익성이 악화되어 그 역시 좋은 선택은 아닙니다. IT산업은 항상 이렇듯 사이클이 있었고, 이러한 고비를 잘 넘기는 기업이 결국 승자의 독식을 통해 성장하는 패턴이 많이 나왔습니다.. 2023. 8. 31.
반응형